본문 바로가기

슈트 선택방법 총정리|프리다이빙ㆍ해루질ㆍ스피어피싱 장비 가이드

prime해마 2025. 5. 10.

슈트 선택방법 총정리|프리다이빙ㆍ해루질ㆍ스피어피싱 장비 가이드

다양한 수중 활동 속에서 축적된 슈트 경험

수영과 바다수영, 해루질, 프리다이빙, 스피어피싱 등 수중 활동을 오랜 기간 지속하면서 수많은 종류의 슈트를 입어보고 직접 비교해왔습니다. 계절, 수온, 활동 강도에 따라 슈트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몸으로 체험하며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이 글에서는 실질적인 장비 선택 팁을 공유합니다.

프리다이빙, 해루질에 맞는 슈트 고르는 법 이라는 한국어 텍스트가 강조된 썸네일 이미지

슈트의 기본 유형: 원피스 vs 투피스

▶ 원피스 슈트

  • 주로 스쿠버다이빙이나 서핑용
  • 입고 벗기 편하다
  • 프리다이빙ㆍ해루질에는 비효율적

▶ 투피스 슈트

  • 상ㆍ하의 분리형
  • 입기 불편하지만 체온유지 탁월
  • 프리다이빙 및 해루질에 추천

▶ 어깨끈까지 올라오는 투피스 슈트

  • 장점: 허리부터 가슴까지 올라오는 구조로 보온성이 뛰어나 겨울철 체온 유지에 효과적입니다.
  • 단점: 상의를 벗어야 하체 슈트를 벗을 수 있어 대소변 시 매우 불편합니다. 특히 추운 날씨나 물속에서는 번거로움이 큽니다.

다양한 종류의 잠수용 슈트(원피스, 투피스, 오픈셀, 롱존)를 나란히 비교한 장비 선택 가이드 인포그래픽.

슈트 두께 선택 가이드

▶ 계절별 추천 두께

  • 여름: 3mm
  • 봄/가을: 5mm
  • 겨울: 7mm

※ 일반적으로 5mm로 시작하지만 여름은 3mm가 가장 활용도 높음

추운 겨울 피문어 시즌이 되면, 해루질 환경은 훨씬 험난해집니다. 하지만 스킨해루질은 법적으로 웨이트를 착용하지 않기 때문에, 부력 조절이 매우 어렵습니다. 이로 인해 덕다이빙이 사실상 힘들거나 매우 비효율적이게 됩니다.(하지만 많은 연습을 하면 해집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5mm 슈트로 버티며 겨울 해루질을 하곤 하지만, 실제로는 7mm 슈트가 훨씬 더 따뜻하고 체온 유지에 유리합니다. 다만 7mm는 그만큼 부력이 강해지기 때문에 깊이 잠수하거나 바닥에 닿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즉, 슈트 두께가 체온 유지에는 도움이 되지만, 활동성 측면에서는 타협이 필요합니다.

▶ 수영장 프리다이빙용

  • 수온 27~29도 기준
  • 2mm~3mm 권장

오픈쉘 vs 크로즈쉘 비교

▶ 오픈쉘(Open Cell)

  • 고무면이 피부에 직접 접촉
  • 입기 어려움 (젤이나 바디클린저 필요)
  • 체온유지 성능 우수
  • 내구성 약함, 손톱에 찢어짐

▶ 크로즈쉘(Closed Cell)

  • 안감에 직물코팅이 되어 있어 입기 쉬움
  • 체온유지는 오픈쉘보다 떨어짐
  • 보통 롱존 타입이라 화장실 이용 불편

슈트 소재: 야마모토 고무에 주목

▶ 야마모토(Yamamoto) 고무란?

  • 38, 39, 45 등급이 존재 (숫자 높을수록 고급)
  • 밀착력ㆍ신축성ㆍ착용감 탁월
  • 천연고무로 알러지 반응 적음
  • 가격이 비쌈

▶ 야마모토 45 = 꿈의 재질이라 불립니다. 그만큼 활동성이 편합니다.

국내외 브랜드 및 슈트 추천

▶ 프리다이빙ㆍ해루질용 추천 브랜드

  • STM 슈트: 야마모토 45를 사용한 바다수영 전용 슈트로, 어깨 돌림이 뛰어나며 활동성이 매우 우수합니다.
  • 앱실론: 야마모토 원단을 사용한 슈트로 디자인과 핏감은 우수하나, 사용자에 따라 내구성 면에서는 아쉬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국내외에서 공구 형식으로 많이 유통되며 가격 대비 외형은 만족도가 높습니다.
  • 더블케이: 2mm SCS코팅 크로즈쉘 (만족도 높음)
  • 크레씨, 쎄악, 부샤, 오머: 국민슈트급

▶ 해외 직구 vs 국내 구입

    • 직구 사이트: 스쿠버스토어(스스), 알리익스프레스
    • 중국산 슈트도 가격대비 만족도 높음

▶ 해외 직구 vs 국내 구입

  • 직구 사이트: 스쿠버스토어(스스), 알리익스프레스
  • 중국산 슈트도 가격대비 만족도 높음

알리익스프레스 슈트 인기 상품 이미지

마무리 조언

  • 슈트는 활동 성격, 수온, 체형에 따라 선택
  • 비싸다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님, 입는 목적을 명확히!
  • 슈트 선택에 대해 궁금한 점은 언제든 문의 주세요!

다음 포스팅 예고

▶ 다음 글: 프리다이빙과 해루질 모두를 위한 핀 선택 가이드

슈트만큼 중요한 장비가 바로 '핀'입니다. 프리다이빙에서 핀의 성능은 이동 거리, 효율적인 산소 사용, 피로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해루질에서는 조류에 맞서거나 불규칙한 해저 지형 위를 움직이는 데 필수적인 장비입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프리다이빙용 롱핀과 해루질용 숏핀, 고무핀, 탄소핀, 플라스틱핀 등 다양한 핀의 종류를 비교 분석합니다. 어떤 핀이 초보자에게 적합한지, 어떤 핀이 전문적인 다이빙 활동에 더 어울리는지 등 구체적인 착용감, 무게감, 반발력, 부력 조절까지 상세히 안내할 예정입니다.

또한 브랜드별 제품 특징도 함께 다루며, 오머(Omer), 크레씨(Cressi), 살비마(Salvimar), 앱실론(Epsilon) 등 프리다이빙 커뮤니티에서 자주 언급되는 브랜드들의 실제 사용 후기와 장단점도 함께 제공해 드립니다.

프리다이빙 훈련용으로 적합한 저항력 중심 핀부터, 해루질에서 바위 사이를 민첩하게 움직일 수 있는 숏핀, 그리고 부력 중립을 고려한 스노클러용 핀까지, 환경과 목적에 따라 어떤 핀을 선택해야 하는지 그 기준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핀 하나로도 훈련 효율과 안전성이 크게 달라지는 만큼, 신중하게 선택하실 수 있도록 실전 중심의 정보를 제공해 드릴 예정입니다.

▶ 핀 선택법 완전 정복하기 (포스팅 공개 예정)

댓글